전문예술인
<공동창작 연극에서 작가의 창조적 역할에 관한 연구>(2022)로 M.F.A 학위를 받았습니다. 공연 창작과 이론 사이에서 ‘읽고-보고-잇고-재구성하고-쓰는 것’을 좋아합니다. 노원의 공연예술의 지평 확장과 지역 기반의 미학을 탐색하는 것에 관심이 있습니다.
조혜인. 『공동창작 연극에서 작가의 창조적 역할에 관한 연구: 극단 크리에이티브 VaQi <보더라인>(2020), 랜터스 씨어터(Ranters Theatre) <Intimacy>(2019)를 중심으로』.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. 2022
現 성균관대학교 연기예술학과 M.F.A
現 성균관대학교 퍼포먼스와디자인사이언스연구소 연구원
現 한국연극학회 정회원
現 브런치 <퍼포먼스 매거진 : PERSIM(PER心)> 작가
現 노원 문화 PD 상계권역: 2022 희망촌 리서치 프로젝트 <존재, 희망> 프로듀셔/연출/구성
現 문화예술교육사 2급
2021 제 20회 서울변방연극제 관객비평단
2021 공연예술 글쓰기 인큐베이터 <드라마인 ㅅ>: 광기(狂氣)가 물성(物性)을 만났을 때: 토마스 오스터마이어 <햄릿>(2008, 아비뇽 페스티벌 시네마 2021) 투고
2020 공연예술 글쓰기 인큐베이터 <드라마인 ㅅ>: ‘경계’에 대하여: 2020 SPAF <보더라인>, <나는 그 사람이 느끼는 것을 생각한다>, <딸에 대하여>, <나는 스무살입니다>, <갈라> 투고
2020 세월호 : 극장들 X 퀴어연극제 참가작 <바운더리> 공동창작 작가
2019 미아리고개예술극장 모니터링단
2019 권리장전 원조적폐 관객수다 수다회원
2019 서울변방연극제 관객비평단: 독립예술웹진 인디언밥 <신토불이 진품명품> 기고
2019 성균관대학교 연기예술학과 하계연극제 <호모 이매지너스-상상하는 인간> 비평문 기고
2019 한국연극평론가협회 하반기 비평워크숍 수료
2019 청년예술지원사업 서울청년예술단 <은하계 제국에서 랑데부> 기고
[입봉] 2017 한국마임축제 열린무대 참가작 <고립불통(孤立不通)-무창(無窓)>(Windowless) 작/연출
2017 한국마임협회 열린무대 <고립불통孤立不通-무창無窓>(Windowless) 공모 당선